맨위로가기

앤 네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앤 네빌은 1456년에 태어나 1485년에 사망한 잉글랜드의 왕족으로, 리처드 3세의 왕비였다. 그녀는 랭커스터 가문의 고외손녀이며, '킹메이커' 워릭 백작의 딸이다.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와 결혼한 후, 리처드 3세와 결혼하여 잉글랜드 왕비가 되었으나, 아들의 죽음과 함께 1485년에 사망했다. 앤 네빌은 셰익스피어의 희곡 《리처드 3세》를 비롯한 다양한 문학 작품과 영화, 드라마에 등장하며, 대중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처드 3세 - 바닛 전투
    1471년 잉글랜드 바닛에서 벌어진 바닛 전투는 요크 가문의 에드워드 4세가 랭커스터 가문을 격파하고 워릭 백작을 죽임으로써 왕위를 재확립하고 랭커스터 가문의 부활을 좌절시킨 장미 전쟁의 중요한 전투이다.
  • 리처드 3세 - 런던탑의 두 왕자
    런던탑의 두 왕자는 1483년 에드워드 4세 사후 런던탑에 갇힌 에드워드 5세와 동생 요크 공작 리처드의 실종 사건으로, 리처드 3세 등 여러 인물이 용의선상에 올랐으며 튜더 왕조 성립에 영향을 미쳤다.
  • 1485년 사망 - 리처드 3세
    리처드 3세는 잉글랜드 요크 왕가 마지막 왕으로, 장미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나 조카들을 런던탑에 가두고 왕위에 올랐다가 보즈워스 전투에서 패배하여 사망하며 요크 왕가의 몰락을 초래했고, 셰익스피어 희곡 등에서 악인으로 묘사되기도 했다.
  • 1485년 사망 - 윤사흔
    윤사흔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정희왕후의 동생이자 왕족 및 사대부와 인척 관계를 맺었으며, 음보로 관직에 입문하여 계유정난과 성종 옹립에 공을 세워 공신에 책록되고 영돈녕부사에 이르렀으나 훈척으로서 병권 운영에 대한 비판을 받았고 우의정, 영경연사를 역임 후 사망하여 양평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456년 출생 - 호조 소운
    호조 소운은 무로마치 막부의 중신으로 이세 종수이나 이세 신쿠로 등으로 불렸으며, 이마가와 가문의 가독 다툼에 개입하고 이즈, 사가미 등지를 정복하며 고호조씨의 기반을 마련한 센고쿠 시대 초기의 중요 인물이다.
  • 1456년 출생 - 공혜왕후
    조선 성종의 왕비 공혜왕후는 영의정 한명회의 딸로, 성종 즉위 후 왕비에 책봉되었으나 19세에 요절하여 '공혜'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능은 파주 순릉에 있다.
앤 네빌
기본 정보
1483년 경 루스 롤에서 그린 그림
칭호잉글랜드 왕비
재위 기간1483년 6월 26일 – 1485년 3월 16일
대관식1483년 7월 6일
배우자결혼: 에드워드 오브 웨스트민스터 (1470년 결혼, 1471년 사망)
결혼: 리처드 3세 (1472년 결혼)
자녀에드워드 오브 미들햄
아버지리처드 네빌, 제16대 워릭 백작
어머니앤 보챔프, 제16대 워릭 여백작
출생일1456년 6월 11일
출생지워릭 성, 워릭셔, 잉글랜드
사망일1485년 3월 16일
사망지웨스트민스터 궁전, 런던, 잉글랜드
매장일1485년 3월 25일
매장지웨스트민스터 사원, 런던, 잉글랜드
가문네빌 가문

2. 혈통

랭커스터 공작 존의 고외손녀로, 곤트의 존과 캐서린 스윈포드의 딸이었던 조앤 보퍼트와 1대 웨스트몰랜드 백작 랄프 네빌의 사이에서 태어난 시슬리스베리의 리처드 네빌(1400-1460)의 손녀였다.[31] 한편 요크 왕가의 요크 공작 리처드 플랜태저넷과 결혼하여 에드워드 4세리처드 3세, 클래런스의 조지 형제를 낳은 세실리 네빌은 앤 네빌의 고모할머니였다.[31] 앤 네빌의 언니 이사벨 네빌(1451-1476)은 리처드 3세의 형 클래런스의 조지와 결혼했다.[31]


  • 친정할아버지 : 리처드 네빌(Richard Neville, 1400 – 1460)
  • 고모할머니 : 세실리 네빌, 요크 공작 부인
  • 고모할아버지 : 제3대 요크 공작 리처드
  • 친정아버지 : 워릭 백작 리처드 네빌(Richard Neville, 1428 – 1471, "The Kingmaker")
  • 친정어머니 : 앤 드 보챔프
  • 언니 : 이사벨 네빌(Isabel Neville, 1451 - 1476)
  • 형부 : 클래런스의 조지, 남편 리처드 3세의 형
  • 남편 :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 웨일즈의 왕자
  • 남편 : 리처드 3세, 남편이자 고종사촌
  • 아들 : 미들햄의 에드워드
  • 증조모 : 조앤 보퍼트, 곤트의 존의 서녀
  • 기타
  • * 에드워드 4세, 시숙이자 고종사촌
  • * 곤트의 존, 외고조부
  • * 잉글랜드의 헨리 6세, 시아버지이자 7촌 아저씨[31]
  • * 잉글랜드의 헨리 4세, 외종증조부이자 시증조부

2. 1. 가계

앤 네빌은 랭커스터 공작 존의 고외손녀이자, 조앤 보퍼트와 1대 웨스트몰랜드 백작 랄프 네빌의 딸인 시슬리스베리의 리처드 네빌(1400-1460)의 손녀였다. 요크 왕가의 요크 공작 리처드 플랜태저넷과 결혼하여 에드워드 4세리처드 3세, 클래런스의 조지 형제를 낳은 세실리 네빌은 앤 네빌의 고모할머니였다. 앤 네빌의 언니 이사벨 네빌(1451-1476)은 리처드 3세의 형 클래런스의 조지와 결혼했다.

친정아버지 워릭 백작 리처드 네빌은 "킹메이커"로 불렸으며, 친정어머니는 앤 드 보챔프이다. 앤 네빌은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리처드 3세와 결혼하였으며, 아들 미들햄의 에드워드를 두었다. 에드워드 4세는 시숙이자 고종사촌이며, 잉글랜드의 헨리 6세는 시아버지이자 7촌 아저씨이다.[31] 잉글랜드의 헨리 4세는 외종증조부이자 시증조부가 된다.

2. 2. 왕가와의 관계

앤 네빌은 곤트의 존의 고외손녀이자, 조앤 보퍼트와 1대 웨스트몰랜드 백작 랄프 네빌의 딸인 시슬리스베리의 리처드 네빌(1400-1460)의 손녀였다.[31] 요크 왕가의 요크 공작 리처드 플랜태저넷과 결혼하여 에드워드 4세리처드 3세, 클래런스의 조지 형제를 낳은 세실리 네빌은 앤 네빌의 고모할머니였다.[31] 앤 네빌의 언니 이사벨 네빌(1451-1476)은 리처드 3세의 형 클래런스의 조지와 결혼했다.[31]

앤 네빌의 친정아버지 워릭 백작 리처드 네빌은 "킹메이커"로 불렸으며, 친정어머니는 앤 드 보챔프, 친할아버지는 리처드 네빌(1400-1460)이었다. 남편으로는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리처드 3세가 있었는데, 리처드 3세는 앤 네빌의 고종사촌이었다. 앤 네빌은 미들햄의 에드워드라는 아들을 두었다. 에드워드 4세는 시숙이자 고종사촌이었고, 잉글랜드의 헨리 6세는 시아버지이자 7촌 아저씨였다.[31] 잉글랜드의 헨리 4세는 외종증조부이자 시증조부였고, 곤트의 존은 외고조부, 증조모는 곤트의 존의 서녀 조앤 보퍼트였다.

3. 생애

3. 1. 어린 시절

앤 네빌은 1456년 6월 11일 워릭 성에서 리처드 네빌, 제16대 워릭 백작과 앤 드 보샹의 차녀로 태어났다.[3] 그녀의 아버지는 잉글랜드에서 가장 강력한 귀족 중 한 명이자 요크 가문의 가장 중요한 지지자였다. 그녀의 할아버지의 누이인 세실리 네빌은 리처드 요크 공작의 부인이었으며, 그는 요크 왕가를 위해 왕위를 주장했다.

미들햄 성은 1270년 네빌 가문의 소유가 되었다.


앤은 어린 시절 대부분을 아버지의 영지 중 하나인 미들햄 성에서 보냈으며, 그곳에서 언니인 이저벨은 요크 공작의 두 어린 아들인 글로스터 공작 리처드(훗날의 리처드 3세)와 클래런스 공작 조지를 만났다. 특히 리처드는 1461년 중반부터 적어도 1465년 봄까지[4], 또는 1465년부터 1468년 말까지[5] 미들햄에서 기사 훈련을 받았다. 이 초기 단계에서도 백작의 딸들과 젊은 공작들 사이의 결혼이 고려되었을 가능성이 있다.[6] 요크 공작은 1460년 12월 30일에 사망했지만, 워릭의 도움으로 그의 장남은 1461년 3월에 에드워드 4세가 되었다.

3. 2. 웨일스 공비 시절

앤 네빌은 1470년 12월 13일경 프랑스 앙제 대성당에서 랭커스터 왕가의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와 결혼하여 웨일스 공비가 되었다.[3] 헨리 6세가 런던탑에 갇히면서, 실질적인 랭커스터 지도자는 그의 배우자 앙주의 마거릿이었는데, 그녀는 워릭 백작의 동기에 대해 의심을 품고 있었다.[3] 이러한 의심을 해소하기 위해 앤 네빌은 프랑스 앙부아즈 성에서 헨리 6세와 앙주의 마거릿의 아들인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와 정식으로 약혼했다.[3]

앤과 두 남편의 그림, Beauchamp Pageant에서, c. 1483-1494


워릭 백작은 1470년 10월 헨리 6세를 다시 왕위에 앉혔으나,에드워드 4세는 1471년 3월에 다시 영국으로 돌아와 런던과 헨리 6세를 신속하게 점령했다.[4] 정신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헨리 6세는 에드워드 4세에 의해 바넷 전투의 포로로 끌려갔고, 그곳에서 워릭 백작이 1471년 4월 14일에 사망했다.[4] 앤의 아버지 워릭 백작은 헨리 6세를 복위시키기 위해 잉글랜드에 파견되었으나, 반년 후 에드워드 4세의 반격에 1471년 4월 14일 바넷 전투에서 패하여 살해당했다. 앤은 신랑, 시어머니와 함께 잉글랜드로 귀국하여 처음으로 아버지의 죽음을 알게 되었다.

에드워드 4세는 헨리 6세를 런던탑에 가두었다.[4] 5월 4일 테우크스베리 전투에서 요크 왕가의 결정적인 승리 이후, 헨리는 "순수한 불쾌함과 우울증"으로 사망했다고 보고되었지만, "런던 대 연대기"는 글로스터 공작 리처드가 그의 죽음에 책임이 있다고 보고했다.[4] 잉글랜드의 사령관으로서, 그는 아마도 에드워드 왕의 헨리를 죽이라는 명령을 탑의 사령관에게 전달했을 것이다.[4]

앙주의 마거릿은 4월에 앤 네빌과 에드워드 왕자와 함께 영국으로 돌아와 추가 병력을 데려왔다.[7] 테우크스베리 전투에서 에드워드 4세는 이 마지막 랭커스터 군대를 궤멸시켰다. 에드워드 왕자는 전투 중 또는 직후에 사망했고, 앤 네빌은 포로로 잡혔다.[7] 또한 5월 4일의 튜크스베리 전투에서 에드워드가 처형되면서 앤은 미망인이 되었다. 그녀는 먼저 코번트리로, 그 다음 런던에 있는 시아버지 클래런스의 조지의 집으로 끌려갔고, 워릭의 아내인 그녀의 어머니 앤 보챔은 보리외 수도원에서 피난처를 찾았다.[7] 위기가 진정되고 백작 부인이 자신의 재산을 되찾기를 원했을 때, 에드워드 4세는 그녀에게 변론할 수 있는 안전 통행증을 거부했다; 그녀는 엘리자베스 여왕과 다른 여러 사람에게 편지를 썼지만 소용이 없었다.[7]

앤이 런던에서 사용인으로 일하고 있는 것을 에드워드 4세의 막내 동생 글로스터 공 리처드가 발견했다는 일화가 있다. 앤은 글로스터 공 리처드와 결혼하기를 원했던 클래런스 조지 사이의 분쟁의 대상이 되었다.[8] 앤 네빌과 그의 여동생 클래런스 공작 부인은 부모의 광대한 영지의 상속자였다. 클래런스는 전체 상속을 확보하기 위해 안달했고, 그녀를 자신의 보호 하에 두었고, 그녀의 지분을 주장할 수 있는 입지를 강화할 결혼을 반대했다.[8]

3. 3. 글로스터 공작부인 시절

앤 네빌과 글로스터 공작 리처드의 결혼 정확한 날짜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대부분의 자료는 1472년 늦봄/초여름 즈음에 웨스트민스터 궁전의 성 스테판 채플에서 결혼식이 거행되었다는 데 동의한다. 이는 1472년 4월 22일 로마에서 결혼 허가를 받은 이후의 일이다.[9] 이 허가는 리처드의 사촌이었던 앤이 랭커스터의 에드워드와 결혼하면서 발생한 친족 관계의 장애를 해소했다.[10] 부부는 리처드가 왕을 대신하여 북부 총독으로 임명된 후, 친숙한 환경인 미들햄 성에서 신혼 생활을 시작했다. 앤은 결혼과 함께 글로스터 공작부인으로 불렸다.[11]

1478년, 앤 네빌은 글래모건 영주를 상속받았다. 이 칭호는 그녀의 아버지에 의해 소유되었고, 그의 사망 후 앤의 언니인 이저벨 네빌에게 넘어갔다. 여성은 자신의 권리로 영주를 행사할 수 없었으므로, 이 칭호는 즉시 이저벨의 남편인 클라렌스 공작 조지 플랜태저넷에게 이전되었다. 1478년 2월 그의 죽음으로, 칭호는 앤에게로 넘어갔고, 그 이후 그녀의 남편 리처드 글로스터가 사망할 때까지, 그리고 그 후 새로운 왕인 헨리 7세에게 넘어갈 때까지 리처드에 의해 행사되었다.[12]

3. 4. 잉글랜드 왕비 시절

1483년 4월 9일, 에드워드 4세가 사망하고 앤의 남편 리처드 3세는 12세 조카 에드워드 5세를 위한 섭정으로 임명되었다.[13] 그러나 1483년 6월 25일, 에드워드 5세와 그의 형제들은 사생아로 선언되었고,[13] 리처드 3세가 왕위에 올랐다.

앤 네빌은 1483년 7월 6일 캔터베리 대주교 토마스 보처에 의해 남편과 함께 대관식을 거행했는데, 이는 175년 만에 잉글랜드에서 이루어진 첫 번째 공동 대관식이었다.[13][14] 왕비의 시종은 리처드를 보즈워스 전투에서 물리친 후 잉글랜드의 헨리 7세가 된 리치먼드 백작부인 마거릿이 맡았다.[13] 웅장한 광경이었던 이 대관식에는 거의 모든 잉글랜드의 귀족들이 참석했다.[13] 리처드와 앤의 아들 미들햄의 에드워드는 1483년 9월 8일 잉글랜드 전역을 순회한 후 요크 민스터에서 웨일스 공으로 책봉되었다.[15]

앤은 시어머니 요크 공작부인 시실리 네빌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하크보른의 메틸데의 저술과 같은 종교 작품에 대해 논의했다.[16]

미들햄의 에드워드는 1484년 4월, 부모가 그를 만나러 가던 중 노팅엄에 있는 동안 미들햄 성에서 갑자기 사망했다.[17] 리처드와 앤 모두 이 소식에 큰 슬픔에 잠겼다.[17] 특히 앤은 큰 슬픔에 잠겼고, 불과 몇 달 후에 심각한 병에 걸렸다. 아들이 죽은 후, 앤 네빌은 조카 워릭 백작 에드워드를 사실상 입양했다.[18] 앤 네빌이 사망한 후, 리처드는 또 다른 조카 링컨 백작 존 드 라 폴을 그의 추정 상속자로 지명했을 수 있다.[19]

리처드 3세가 앤과 이혼하고 조카딸 (에드워드 4세의 딸) 엘리자베스와 결혼할 계획을 세웠다는 소문은 그들의 아들이 사망한 후에 퍼졌지만, 리처드 3세가 앤을 독살했다는 소문과 함께 그 증거는 남아있지 않다. 앤은 1485년 3월 16일에, 아마도 결핵으로 웨스트민스터 궁전에서 사망했으며,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매장되었다[30]

3. 5. 죽음

앤 네빌은 1485년 3월 16일 웨스트민스터에서 아마도 결핵으로 사망했다.[20] 그녀가 죽은 날 일식이 있었고,[21] 어떤 사람들은 이를 남편 리처드 3세의 하늘의 은총으로부터의 몰락의 징조로 여겼다. 앤 네빌은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제단 오른쪽에 있는, 참회자 예배당으로 가는 문 옆에 있는 표시가 없는 무덤에 묻혔다.[22] 리처드 3세는 그녀의 장례식에서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23]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처드 3세가 조카인 엘리자베스와 결혼하기 위해 앤 네빌을 독살했다는 소문이 돌았다.[23] 리처드는 엘리자베스를 법원에서 셔리프 허튼으로 보내고, 1485년 3월 30일 세인트 존 병원에서 소집한 영주들의 모임에서 이러한 소문을 공개적으로 반박했다.[24] 그는 그들에게 "크고 뚜렷한 목소리"로 연설하며, "그의 슬픔과 불만을 표명하고, 그러한 방식으로 결혼할 생각이나 마음을 전혀 가진 적이 없으며, 그의 왕비의 죽음을 기뻐하지도 않았고, 슬퍼했고 마음이 사람만큼 무거웠다…"라고 말했다.[24] 리처드가 아내의 죽음에 대해 진심으로 슬퍼했다는 데 의심할 여지는 없다.[25]

나중에 포르투갈 왕실 문서 보관소에서 발견된 문서에 따르면, 앤이 죽은 후 리처드의 대사들은 리처드와 포르투갈 국왕의 누이인 조안 (랭커스터 가문의 후손)과 요크의 엘리자베스와 조안의 사촌인 마누엘 공작 (훗날 마누엘 1세)의 이중 결혼을 협상하기 위한 공식적인 임무를 받았다.[26]

1960년까지 앤 네빌을 기리는 기념물은 없었으며, 그 해에 리처드 3세 협회가 그녀의 무덤 근처 벽에 청동 기념패를 세웠다.

4. 유산과 영향

5. 대중문화 속 앤 네빌

에드윈 오스틴 애비의 ''리처드, 글로스터 공작과 앤 부인''.


앤 네빌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리처드 3세》에서 세 장면에 등장한다. 1막 2장에서 리처드 3세는 앤을 설득하여 결혼하고, 4막 1장에서 앤은 리처드 3세의 대관식 직전에 에드워드 4세의 미망인을 만나 자신의 처지를 한탄한다. 5막 3장에서는 앤이 리처드 3세에게 나타나는 유령 중 한 명으로 묘사된다.

이 역할은 영화에서 클레어 블룸(''리처드 3세''(1955)), 크리스틴 스콧 토머스(''리처드 3세''(1995)), 위노나 라이더( ''리처드를 찾아서''(1996)) 등이 연기했다. BBC 텔레비전 셰익스피어에서는 조이 워너메이커가, ''더 화이트 퀸'' (2013)에서는 페이 마세이가, ''더 할로우 크라운: 장미 전쟁'' (2016)에서는 피비 폭스가 앤 네빌 역을 맡았다.

앤 네빌은 1939년 영화 ''런던 탑'' (로즈 호바트 분)과 1962년 리메이크 (조앤 캠던 분)에도 등장한다. 독일 뮤지컬 ''Tanz Der Vampire (뱀파이어 무도회)''에서 폰 크롤록 백작의 무도회 장면에 앤 네빌과 그녀의 남편 리처드 3세를 포함한 여러 역사적 인물들이 뱀파이어로 등장한다.

앤 네빌은 여러 역사 소설의 주요 등장인물이며, 다음 작품의 제목으로 등장한다.

  • 글래디스 말번, ''여왕의 여인''(1963)
  • 잔 웨스트코트, ''그녀를 왕좌에 앉혀라''(1972)
  • 프란시스 어윈, ''백색 폰''(1972)
  • 프란시스 어윈, ''백색 여왕''(1974)
  • 에블린 후드, ''킹메이커의 딸''(1974)
  • 힐다 브룩먼 스타니어, ''킹메이커의 딸''(1978)
  • 레슬리 J. 니켈, ''백색 여왕''(1978)
  • 모린 피터스, ''거지 소녀, 여왕''(1980)
  • 필리파 위아트, ''킹메이커의 딸''(1989)
  • 진 플레이디, ''마지못한 여왕: 요크의 앤 이야기''(1990)
  • 엘리너 메님, ''잉글랜드의 앤 네빌, 여왕''(1999)
  • 앤 오브라이언, ''처녀 과부''(2010)
  • 필리파 그레고리, ''킹메이커의 딸''(2012)
  • 줄리 메이 러독, ''워릭의 딸''(2012)
  • 폴라 시몬즈 잡카, ''워릭의 앤, 마지막 플랜태저넷 여왕''(2012)
  • 리즈 오윈, ''하녀의 이야기: 앤''(2016)


다음은 앤 네빌이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으로 등장하는 작품들이다.

  • 올리브 에커슨, ''황금 멍에''(1961)
  • 마가렛 데이비슨, ''나의 귀족 리처드''(1979)
  • 로다 에드워즈, ''운명의 수레바퀴''(1978) 및 ''부러진 검''(1977)
  • 앤 파워스, ''네 명의 여왕''(1977)
  • 샤론 케이 펜먼, ''찬란한 태양''(1982)
  • 폴라 시몬즈 잡카, ''왕국을 갈망하다''(2002)
  • 산드라 워스의 ''요크의 장미'' 3부작 - ''사랑과 전쟁''(2003), ''운명의 왕관''(2006) 및 ''타락''(2007)
  • 실비아 찰레우드, ''리처드 3세와 앤 네빌: 그들의 사랑 이야기''(2015)
  • J.P. 리드먼, ''나, 리처드 플랜태저넷''(2016)
  • 마이클 힉스, 『앤 네빌: 리처드 3세의 여왕』 (2006)
  • 에이미 라센스, 『앤 네빌: 리처드 3세의 비극적인 여왕』 (2013)
  • J. L. 레이네스미스, 『마지막 중세 여왕: 잉글랜드 여왕 1445–1503』 (2004)


진 플레디의 소설 『리처드 3세를 사랑한 여자』(''The Reluctant Queen: Story of Anne of York'')와 칸노 후미의 만화 『장미왕의 장례』에도 앤 네빌이 등장하며,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리처드 3세』, 텔레비전 드라마 『더 할로우 크라운/고통의 왕관』(2016년, 피비 폭스 배역)에도 등장한다.

5. 1. 주요 작품

앤 네빌은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리처드 3세》에서 세 장면에 등장한다. 1막 2장에서 리처드 3세는 앤을 설득하여 결혼하고, 4막 1장에서 앤은 리처드 3세의 대관식 직전에 에드워드 4세의 미망인을 만나 자신의 처지를 한탄한다. 5막 3장에서는 앤이 리처드 3세에게 나타나는 유령 중 한 명으로 묘사된다. 에드윈 오스틴 애비의 ''리처드, 글로스터 공작과 앤 부인''이라는 작품에 앤 네빌이 등장한다.

이 역할은 영화에서 클레어 블룸(''리처드 3세''(1955)), 크리스틴 스콧 토머스(''리처드 3세''(1995)), 위노나 라이더( ''리처드를 찾아서''(1996)) 등이 연기했다. BBC 텔레비전 셰익스피어에서는 조이 워너메이커가, ''더 화이트 퀸'' (2013)에서는 페이 마세이가, ''더 할로우 크라운: 장미 전쟁'' (2016)에서는 피비 폭스가 앤 네빌 역을 맡았다.

앤 네빌은 1939년 영화 ''런던 탑'' (로즈 호바트 분)과 1962년 리메이크 (조앤 캠던 분)에도 등장한다. 독일 뮤지컬 ''Tanz Der Vampire (뱀파이어 무도회)''에서 폰 크롤록 백작의 무도회 장면에 앤 네빌과 그녀의 남편 리처드 3세를 포함한 여러 역사적 인물들이 뱀파이어로 등장한다.

앤 네빌은 여러 역사 소설의 주요 등장인물이며, 다음 작품의 제목으로 등장한다.

  • 글래디스 말번, ''여왕의 여인''(1963)
  • 잔 웨스트코트, ''그녀를 왕좌에 앉혀라''(1972)
  • 프란시스 어윈, ''백색 폰''(1972)
  • 프란시스 어윈, ''백색 여왕''(1974)
  • 에블린 후드, ''킹메이커의 딸''(1974)
  • 힐다 브룩먼 스타니어, ''킹메이커의 딸''(1978)
  • 레슬리 J. 니켈, ''백색 여왕''(1978)
  • 모린 피터스, ''거지 소녀, 여왕''(1980)
  • 필리파 위아트, ''킹메이커의 딸''(1989)
  • 진 플레이디, ''마지못한 여왕: 요크의 앤 이야기''(1990)
  • 엘리너 메님, ''잉글랜드의 앤 네빌, 여왕''(1999)
  • 앤 오브라이언, ''처녀 과부''(2010)
  • 필리파 그레고리, ''킹메이커의 딸''(2012)
  • 줄리 메이 러독, ''워릭의 딸''(2012)
  • 폴라 시몬즈 잡카, ''워릭의 앤, 마지막 플랜태저넷 여왕''(2012)
  • 리즈 오윈, ''하녀의 이야기: 앤''(2016)


다음은 앤 네빌이 주요 등장인물 중 한 명으로 등장하는 작품들이다.

  • 올리브 에커슨, ''황금 멍에''(1961)
  • 마가렛 데이비슨, ''나의 귀족 리처드''(1979)
  • 로다 에드워즈, ''운명의 수레바퀴''(1978) 및 ''부러진 검''(1977)
  • 앤 파워스, ''네 명의 여왕''(1977)
  • 샤론 케이 펜먼, ''찬란한 태양''(1982)
  • 폴라 시몬즈 잡카, ''왕국을 갈망하다''(2002)
  • 산드라 워스의 ''요크의 장미'' 3부작 - ''사랑과 전쟁''(2003), ''운명의 왕관''(2006) 및 ''타락''(2007)
  • 실비아 찰레우드, ''리처드 3세와 앤 네빌: 그들의 사랑 이야기''(2015)
  • J.P. 리드먼, ''나, 리처드 플랜태저넷''(2016)
  • 마이클 힉스, 『앤 네빌: 리처드 3세의 여왕』 (2006)
  • 에이미 라센스, 『앤 네빌: 리처드 3세의 비극적인 여왕』 (2013)
  • J. L. 레이네스미스, 『마지막 중세 여왕: 잉글랜드 여왕 1445–1503』 (2004)


진 플레디의 소설 『리처드 3세를 사랑한 여자』(''The Reluctant Queen: Story of Anne of York'')와 칸노 후미의 만화 『장미왕의 장례』에도 앤 네빌이 등장하며,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리처드 3세』, 텔레비전 드라마 『더 할로우 크라운/고통의 왕관』(2016년, 피비 폭스 배역)에도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The Kingmaker's Women: Anne Beauchamp and Her Daughters, Isabel and Anne Neville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2023-10-12
[2] 서적 Encyclopedia of the Wars of the Roses ABC-CLIO 2001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ritish Monarch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3-10-15
[4] 서적 Richard the Third https://books.google[...] W.W. Norton
[5] 서적 Richard III Amberley Publishing 2012
[6] 문서 Licence 2013
[7] 서적 Queens Consort, England's Medieval Queens Weidenfeld & Nichelson
[8] 서적 Croyland Chronicle Richard III
[9] 서적 Anne Neville: Queen to Richard III The History Press
[10] 학술지 Diriment Impediments, Dispensations and Divorce: Richard III and Matrimony http://www.richardii[...] 2018-09-13
[11] 서적 Tewkesbury Abbey and its associations https://archive.org/[...] Simpkin, Marshall, and Co. 1875
[12] 서적 Henry VII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Westminster Abbey » Richard III http://westminster-a[...] 2016-10-08
[14] 서적 The Coronation of Richard III: The Extant Documents https://books.google[...] Alan Sutton
[15] 문서 York City Records
[16] 서적 Queens Consort: England's Medieval Queens https://archive.org/[...] Weidenfeld & Nicolson 2008
[17] 서적 The Wars of the Roses: The Key Players in the Struggle for Supremacy https://books.google[...] Amberley Publishing Ltd.
[18] 웹사이트 Edward PLANTAGENET (1º E. Warwick) http://www.tudorplac[...] 2020-05-22
[19] 서적 The Wars of the Roses: 1455–1485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 문서 Licence 2013
[21] 웹사이트 Catalog of Solar Eclipses: 1401 to 1500 http://eclipse.gsfc.[...] 2016-10-08
[22] 웹사이트 Westminster Abbey » Anne Neville, wife of Richard III http://westminster-a[...] 2016-10-08
[23] 문서 Hicks 2006
[24] 서적 Acts of Court of the Mercers' Company 1453–1527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문서 Hicks
[26] 서적 The Last Days of Richard III and the Fate of His DNA https://archive.org/[...] History Press Ltd.
[27] 서적 The Royal Heraldry of England, Heraldry Today Hollen Street Press
[28] 서적 The Book of the Medieval Knight https://archive.org/[...] Arms and Armour Press
[29] 웹사이트 Beebliome Develops Interactive History Novelizations for YA Readers http://goodereader.c[...] 2012-12-08
[30] 문서 Weir
[31] 문서 곤트의 존의 증손자이며 헨리 4세의 손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